본문 바로가기
How to

카라반 스웨이 원인 방지 대처 방법

by soonhappy 2019. 10. 1.

  카라반 사용자들은 휴일을 기다리며 가족, 연인과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낼 생각에 매우 설렌다. 이번 주는 어디로 출정을 해볼까? 어느 곳이 좋을까? 하며 행복한 고민에 빠진다. 출정하기 며칠 전부터 여행, 캠핑에 필요한 준비를 하는 것부터 소소한 설렘의 시작이다. 휴일이 되어 어디론가 떠날 마음에 기분이 들떠있게 되는 경우가 많다. 목적지까지 단숨에 도착하여 빨리 즐기고 싶은 마음이 행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조금이라도 일찍 도착하기 위해 과속을 하게 되면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일이 발생될 수 있다. 아래의 영상은 카라반 사고 영상이다.

출처 : https://youtu.be/G_mYqCaaBdU

 2차선으로 주행하던 카라반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견인차의 균형이 무너져 위험한 사고로 이어졌다. 영상과 같이 카라반이 흔들리는 상태를 스웨이(sway) 현상이라고 하는데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피쉬테일(fishtail) 현상이라고도 한다. 스웨이가 심하게 발생되면 운전자가 제어 불능 상태에 빠져 위험한 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이 위험한 스웨이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아래의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https://youtu.be/4jk9H5AB4lM

(무게를 분배할 수 있게  제작한 모형 트레일러로 런닝머신에서 테스트 한 영상)

  견인차와 피견인차(트레일러)를 정상적인 주행 영상으로 시작되고 있다. 트레일러에는 적색 원형 추와 녹색 추가 꽂혀 있는데 추는 트레일러 전면에 녹색과 적색이 후면은 녹색 한 개만 꽂혀 있다. 앞쪽에 추 2개로 무게 중심이 트레일러 앞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실험자가 트레일러(피견인차)의 후미에 힘을 가하고 있다. 무게중심이 앞쪽에 있는 경우 트레일러가 흔들려도 정상적으로 빠른 회복이 가능했다. 적색 추를 뒤로 옮기고 실험자의 같은 힘으로 후미에 힘을 가했다. 약하게 힘을 가하자 천천히 회복이 됐고, 더 강한 힘으로 가자하 회복 불능 상태가 되어 트레일러를 손으로 잡을 수밖에 없었다. 가장 큰 원인은 트레일러의 무게의 중심인 것이다. 무게 중심이 뒤에 있게 되면 견인차와 트레일러의 수평이 틀어지기 때문에 균형이 무너져 스웨이 발생 확률이 높은 것이다. 스웨이가 발생했을 시 무게 중심으로 인해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휘청이게 되는 것이다. 옆 차로에 대형 차량이 지나갈 경우 주행 중인 차량이 흔들리는 경험은 대부분 있을 것이다. 즉, 매우 강한 바람이 불었을 때 스웨이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카라반의 경우 차체가 높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높아 바람의 영향을 받기 쉽다.

출처 : https://youtu.be/G_mYqCaaBdU

견인차의 갑작스런 조향, 과속, 노면이 고르지 못한 상태,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이탈 등 여러 가지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스웨이가 발생되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사전에 방지를 준비해야 한다. 무게 중심을 카라반(트레일러)의 앞으로 향하게 한다. (전축하중 즉, 수직하중을 가볍게 하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견인차와 트레일러의 수평을 맞춘다. (카라반의 앞이 약간 기우는 것이 안전하다는 평가다.) 카라반 내부에 청수 통을 확장했다면 물은 비우고 다니는 것이 옳다. 대부분의 청수 통은 소파 또는 침대 밑에 장착하게 되는데 물이 차 있을 경우 좌우 수평이 맞지 않아 스웨이 발생 시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본 소형 청수 통 25 liter(리터) 일 경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카라반의 짐은 최소화하여 과적을 하지 않고 짐은 가급적 견인차에 넣어야 한다. 안정감 있는 견인차라면 카라반의 스웨이가 발생할 경우 회복이 빠르기 때문이다. 위 사항을 준수하고 80km/h의 견인 속도로 안전하게 주행한다면 스웨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주행 중 스웨이가 발생되는 것을 깨달은 순간 속도를 늦추어야 한다. 조향을 할 경우 견인차의 균형이 무너질 수 있기에 피쉬테일 현상이 더욱 심해져 전복될 수 있다. 가급적 조향은 하지 않고 우직하게 직진 주행을 하면서 속도를 서서히 낮추어야 한다.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을 시 카라반의 무게가 견인차로 전달되어 견인차의 안정감과 균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급 브레이크도 금물이다. 속도를 서서히 낮추며 카라반이 견인차의 뒤로 안전하게 돌아오게 해야 한다. 본인의 카라반이 스웨이가 자주 발생되는 차량이라면 원인을 파악하여 조치하고 안전한 운전 습관으로 스웨이 현상은 방지할 수 있다.

 

#카라반 스웨이, #피쉬테일 현상, #발생, #원인, #방지, #방지하는 방법, #수평, #탈출 방법

댓글